2025년 9월 25일 중등 1;1맞춤 문법 & 서술/논술형 글쓰기 백*현 !!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 교재 분석
-
교재 제목: Be동사 현재형과 과거형 – 기초 문장 구성 훈련
-
학습 주제: be동사의 시제별 활용 (am/is/are vs was/were), there is/are 문장 쓰기
-
문법 요소:
-
be동사의 형태 변화 (인칭·수에 따른 활용)
-
문장 성분 배열 (S + be + O/C)
-
그림 설명을 통한 현재진행형 응용
-
-
활동 유형:
-
문장 쓰기 (이미지 기반 설명)
-
한국어 → 영어 전환 쓰기
-
빈칸 채우기, 선택형 연습
-
◆ 학습 포인트 및 개선 과정
1. 실수 유형 및 원인 분석
번호 | 실수 내용 | 유형 | 원인 분석 | 세부 설명 |
---|---|---|---|---|
① | “There was were” 중복 기입 | G | (2) 부주의 | 두 답을 모두 쓰고 정리하지 못함 |
② | "A little girl is watering flowers." → 주어 반복 오류 ("She" 중복) | W | (5) 전략 부족 | 쓰기 구성을 미리 정리하지 않고 작성 |
③ | “She is holding a watering can.” → 전치사 표현 누락 (in her hand 등) | W | (1) 이해 부족 | 상황 설명을 위한 전치사 구조 인식 부족 |
④ | “We was tired.” → 주어-동사 불일치 | G | (3) 개념 혼동 | 인칭에 따른 be동사 변화 개념 미흡 |
⑤ | 그림 묘사에서 “There is – behind the garden” → 전치사 뒤 명사 빠짐 | W | (5) 전략 부족 | 문장 구성 순서와 필수 요소 점검 미흡 |
2. 개선 방향 제안
-
★ 주어-동사 일치 연습 반복 필요
→ 표 형태로 주어별 be동사 정리 (I → am / He → is / They → are / 과거형 포함) -
★ 문장 쓰기 전 ‘스캐폴딩 프레임’ 활용 지도
→ 문장 구성 틀을 먼저 잡고 쓰도록 지도
예:-
Who? A girl
-
What is she doing? Watering flowers
-
Where? In the garden / under the rainbow
-
With what? A watering can
-
-
★ 전치사 표현 리스트 정리 훈련
→ 그림 설명에 자주 쓰이는 표현 묶어서 암기
(on the soil, in her hand, under the rainbow 등) -
★ 문법 + 쓰기 연결 연습
→ 문법 문제풀이와 쓰기 활동을 분리하지 않고,
→ 푼 문법 구조를 활용한 짧은 문장 쓰기까지 연결하면 더 효과적임
◆ AI 수업 평가 (교사 피드백 분석)
피드백 방식 분석
-
★ 직접 수정 + 부분 힌트 제공 혼합형
-
문법 오류는 대부분 바로 수정 (ex: was/were, is/are)
-
쓰기 과제에서는 문장 구조 지적 및 연결어 제안 (예: behind, with 등)
-
보조 지표 평가
지표 | 평가 | 설명 |
---|---|---|
반응성 | ★★★★☆ | 거의 모든 실수에 피드백이 제공됨 |
개인 맞춤성 | ★★★★☆ | 그림 설명, be동사 등 기본 구조에 집중한 피드백 제공 |
정서적 지원 | ★★☆☆☆ | 교정 중심으로 격려 메시지는 부족함 |
◆ 종합 정리 (학부모용 리포트)
백*현 학생은 이번 단원에서 be동사의 현재형과 과거형, 그리고 There is/are 문장 구성을 중심으로
기초 문장 만들기 훈련을 집중적으로 진행하였습니다. 특히 그림을 보며 직접 문장을 구성하는 활동에서는
눈에 보이는 사물, 동작, 위치 등을 문장으로 연결하려는 의미 중심의 표현 시도가 인상 깊었습니다.
문법 연습 문제에서도 ‘is/are’, ‘was/were’의 활용을 대부분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고,
단수/복수, 현재/과거 시제에 따른 선택도 빠르게 익히고 있는 모습이 확인되었습니다.
다만 일부 문장에서는 주어와 동사의 일치가 어긋나거나, 문장 구조 점검 없이 곧바로 쓰는 습관 때문에
문법적으로 맞지 않거나 일부 요소가 빠진 문장이 보이기도 했습니다.
이런 실수는 ★문장 쓰기 전에 머릿속으로 구성 순서를 한번 정리하는 습관★을 기르면 충분히 개선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누가 → 무엇을 → 어디서 → 어떻게” 순서로 말해보고 쓰는 훈련이 매우 효과적입니다.
선생님께서는 대부분의 문장에 대해 정확한 피드백을 주셨고, 필요한 경우에는 문법 설명이나 구조 수정을 함께 제시해 주셨습니다.
다만 학습 의욕을 북돋을 수 있는 작은 칭찬 표현(예: “좋은 시도예요”, “잘 찾았어요”)이 함께 들어간다면
학생이 스스로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고 표현해보려는 태도에 더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백*현 학생은 현재 기초 문장 구성 능력과 be동사 이해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 간단한 구조를 다양한 상황에 적용해보는 연습을 통해 더 탄탄한 문장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